명으로 굳어질 것으로 보이며,
이에 내년도 전국 의대의 최종 모집인원은 4610명으로 굳어질 것으로 보이며,의료계가 요구해 온 의대 정원 재논의는 사실상불가능해지는 상황이 된다.
29일 교육계,의료계등 상황을 종합하면 각 대학은 30일까지 정시모집 인원을 최종 확정 발표하며 31일부터 다음달 3일까지 원서를 접수 받는다.
2024년 의대증원 발표 이후의료계반응은 지난 2020년의료계총파업과는 양상이 많이 달랐다.
2020년 당시만해도 대한전공의협의회, 대한의과대학.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안 가결 이후 의료개혁 정책은 사실상 더 이상 추진이불가능한 상황으로, 보건복지부는 당분간 기존 업무 수행에 집중하겠다는 입장이다.
© 경기메디뉴스 경기도의사회가 지난 28일 저녁 서울역 과장에서 2024년을 마무리하는 제57차의료계엄 규탄 집회를 개최한 가운데 연대사를 한 김영준.
도저히불가능한 일이라고 본다"라며 "끝까지 저항하는 국정농단 주동자를 문책 혹은 굴복시키는 것은 힘있는 정치권의 영역이 아니겠나? 책임자 처단이.
◆ 2000명 증원에 의정 갈등 10개월째…내년도 입시 절차는 진행 30일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2월6일 '2025학년도부터 의과대학 정원 2000명.
내년 1월3일 정시 모집 마감을 앞두고 있어 의사들의 내년 의대 증원 철회는 현실적으로불가능해졌다.
의사들은 수시 미충원 인원 정시 이월을 제한하는.
근거 없는의료 계엄의 결과 또한 12.
3 비상계엄과 같이 처참히 돌아올 것이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의대 정원 조정은불가능하며 기존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대학병원은 위기에 봉착했고, 2025년도 전공의 모집에서 중증, 응급 의료과의 지원자를 찾아보기 어렵다.
의료계는 수시 미충원 인원을 정시로 이월하지 않는 식으로 2025학년도 정원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해왔으나 2025학년도 정원 조정은 사실상불가능해진 것이다.
전국 39개 의대에서 수시에서 못 뽑아 정시로 이월한 인원은 2020학년도 162명, 2021학년도 157명에서 2022학년도에는 63명으로 떨어졌다.
정시 원서 접수와 함께 내년도 의대를 비롯한 각 대학별 모집인원이 확정되면서의료계가 요구하는 의대 정원 재논의는 사실상불가능해진다.
각 대학은 수시모집에서 발생한 미등록 인원을 반영해 모집 인원을 내부에서 확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내년도 전국 의대의 최종 모집인원은 4610명으로.
최근엔 이공계 해외 취업 및 이민 바람이 그동안 잠잠했던의료계까지 퍼지게 됐다.
특히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의료 개혁으로 의·정 갈등이 심화되고.
않고불가능하다"고 조언했다.
금전적 문제와 더불어 이공계 고학력 인재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나 대우도 특히 개선돼야 할 부분으로 거론된다.
각 대학이 정시 모집인원을 확정해 발표에 돌입한 만큼의료계가 요구해 온 2025학년도 의대 정원 재논의는불가능하게 됐다.
2025학년도 대학 입시 전형 절차에 따라 각 대학은 지난 27일 수시 모집 추가 합격자 등록을 마감하고 오는 30일까지 수시 미충원 이월을 반영한 정시 모집 인원을 확정해 누리집에.
대학 정시일정이 코앞으로 다가와의료계에서 주장하는 2025년 의대정원 조정이 현실적으로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한 행보로 풀이된다.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왼쪽 첫 번째)이 12월19일 오후 서울 용산 의협회관에서 열린 국회·의사협회·전공의단체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