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건설공단과 손잡고 가덕도신공항
경상남도(도지사 박완수)는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시, 울산시,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과 손잡고 가덕도신공항과진해신항을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섰다.
경남도는 20일 가덕도신공항건설 공단에서 5개 기관과 신공항과 신항만을 연계한 물류·산업.
ⓒ 경남도청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경상남도,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이 손잡고 가덕도신공항과진해신항을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섰다.
박완수 경남도지사를 비롯한 박상우 국토부 장관,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 박형준.
맨 오른쪽) 경남도지사가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부산시, 울산시,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등 5개 기관과 가덕도신공항 및진해신항중심의 지역경제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촬영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제공) 2024.
부산항건설사무소는 2년 연속 5000억원 규모 예산을 확보함에 따라 부산·경남지역 항만 개발, 국가어항 정비, 연안.
이를 통해 ‘메가포트진해신항’을 구축, 친환경·스마트항만을 조성해 부산항을 세계 3위급 항만으로.
거점항만 구축전략’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부산항의 운영체계를 효율화해 해운동맹 재편과 글로벌.
앵커> 정부가 수출입 공급망 안정화를 위해 부산항을 세계 3위 항만으로 키우겠다고 발표했습니다.
2045년까지 14조 원을 투입해진해신항을 구축하고, 해외 물류센터도 확보해나갈 계획입니다.
정부가 오는 2045년까지 총 14조여억원을 투입해 부산항진해신항에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전용부두 시설을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통해 '메가포트진해신항'을 구축, 친환경·스마트항만을 조성해 부산항을 세계 3위급 항만으로 도약시키겠다는.
진해신항운영사는 단일화해 화물 처리를 효율화하고, 유망 거점에는 해외 물류센터도 늘려 나가 공급망 재편의.
신항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정부가진해신항을 포함한 부산신항개발 목표를 제시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