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국제공항을 찾아 유가족
서울시의사회가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발생한 전남무안국제공항을 찾아 유가족 등을 대상으로 ‘의료지원 봉사활동’을 펼쳤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지난 11~12일 양일간무안국제공항에서 사고 발생 후 진료를 해온 지역의사회 회원들과 함께 유가족 및 구조대원을 위한 의료봉사를.
이번 사고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무안국제공항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처럼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물은 철거하거나 재시공을 검토합니다.
둔덕이 2m 높이였던 무안공항 외에도 여수공항(4m), 포항경주공항(2m), 광주공항(1.
5m) 등 최소 3곳의 전국 공항에는 콘크리트와.
정부가무안국제공항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와 관련해 일부 국내 공항에 로컬라이저(방위각시설)를 주의하라는 안내를 고시했다.
이번 참사에서 로컬라이저 하부의 콘크리트 둔덕이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을 인정한 셈인데, 그간 정부가 '로컬라이저가 적법하게 설치됐다'는 주장을 고수해 온 만큼.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계기로 대한민국의 항공 안전 시스템 전반에 대대적인 개혁이 예고됐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참사 수습과 재발 방지를 핵심 과제로 내세우면서 올해 4월까지 민간 전문가와 함께 항공안전 혁신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사고 조사 결과의 투명성을.
국토부는 지난달 29일 전남무안국제공항에서 제주항공 7C2216편이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에 충돌한 참사 이후 B737-800 전수 조사를 진행했다.
국토부는 일부 항공사에서 규정 위반 사례를 확인했다.
점검 주기 초과와 정비고장 탐구 절차 미준수다.
피해자들의 빠른 회복과 삶의 안정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 바란다"고 기대했다.
한편, 지난해 12월29일 오전 9시3분쭘 전남무안국제공항활주로에서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을 시도하다 공항 시설물과 충돌해 탑승자 181명 가운데 승객과 기장 등 모두 179명이 숨지고 승무원 2명만 구조됐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6일째인 13일 오전무안국제공항사고 현장에서 소방 대원들이 기체에 덮인 방수포를 걷어내고 있다.
공사는 오는 3월 말까지 상품 예약 취소 등 피해 상황을.
이양섭 의장은 “무안공항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지방공항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진 만큼 도민들과 이용객들이 안심하고 청주국제공항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항공 안전사고 예방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이태훈 건설환경소방위원회 위원장은 “도내공항에서의 항공기 사고 예방과 안전관리.
이번 사고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목된무안국제공항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된 '콘크리트 둔덕'처럼 항공기 안전을 위협하는 구조물은 철거하거나 재시공을 검토한다.
둔덕이 2m 높이였던 무안공항 외에도 여수공항(4m), 포항경주공항(2m), 광주공항(1.
5m) 등 최소 3곳의 전국 공항에는 콘크리트와.
국토교통부는 지난 2∼8일 인천·김포국제공항등 전국 13개공항의 로컬라이저 등 방위각 시설의 위치, 재질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조사 결과무안공항을 비롯해 총 7개공항에서 항공기와의 충돌 시 쉽게 부서지지 않아 피해를 키울 것으로 우려되는 로컬라이저 시설이 발견됐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